자동차정비산업기사실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동차정비산업기사 CRDI백리크측정 *CRDI 백리크 측정 리턴 호스를 제거 하기 위해선 클립을 탈거 해야한다 탈거된 클립 클립 제거후 1,2,3,4번 인젝터의 리턴호스 탈거해준다 (결합은 분해의 역순) 리턴호스 탈거 후 번호순서대로 백리크 측정기 연결호스를 연결한다 (시동을 걸어 측정한다) 시동 1분 후 인젝터 백리크 량을 측정한다 (1,2,4번은 비슷하나, 3번이 눈에 띄게 리턴 량이 많다 3번 인젝터가 1,2,4번 인젝터에 비해 분사량이 작다고도 볼 수 있다) *답안지 작성 위와 같이 답을 적어준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 발전기점검 1. 발전기 분해/결합 커버를 탈거하면 다이오드와 전압조정기 어셈블리 B단자 등 있다 탈거된 로터와 리어커버 히트싱크 및 다이오드 여자디이오드(트리오) 및 B단자 콘덴서(축전기) 발전기 결합 할 때 이 부분이 중요한데 브러쉬를 그림과 같이 밀어 넣어야 재조립 된다 손가락이나 탈거때 나온 관통볼트를 이용하여 사진과 같이 브러쉬를 바깥으로 밀고 클립으로 브러쉬가 나오지 않도록 고정 한 후 다시 재조립한다 브러쉬를 넣고 클립으로 고정시킨 모습 이와 같이 클립이 브러쉬를 고정 하였기에 재조립 할 때 별탈 없이 재조립 된다 조립 후 고정 시켜 놓은 클립을 제거하면 완전 재조립!! *풀리를 돌려 재조립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2. 로터코일 점검/기록 사진과 같이 탈거한 로터의 슬립링의 저항을 측정한다 (저항 측정이.. 자동차정비산업기사실기 PCSV점검 *PCSV 점검 전 PCSV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캐니스터에 저장되어 있던 연료증발가스(HC)를 ECU의 신호를 받아 다시 서지탱크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첫번째 그림속의 PCSV 와 캐니스터 캐니스터 PCSV 12V의 전기를 주면 딸깍!! 소리나며 작동한다 이렇게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면서 열려 연료증발가스가 서지탱크로 이동한다 PCSV호스가 연결되는 스로틀 바디 'P'위치 *PCSV 점검 PCSV를 진공펌프에 연결하여 손잡이를 당겨 준다 사진과 같이 진공이 유지 된다 12V(배터리 전압)을 ON한다 PCSV속 니들밸브가 열리면서 진공해제 상태가 된다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 역할 PCSV는 ECU로 제어되며,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인젝터파형분석 *인젝터 파형분석 채널 차량 설정을 한다 옵티마(Optima) 차량!! 채널을 선택하고 1번 채널을 선택 탐침봉을 준비한다 흑색 프로브를 마이너스에 접지 인젝터 파형 & 소전류 측정 할 것이므로 '채널1' 와 '소전류' 채널 2개를 연다 플러스 프로브 탐침봉을 인젝터에 연결 소전류 측정기를 준비 방향에 유의하여 설치 설치하기 전 가장 중요한 작업!! 전류 측정기 0점 조정하기 설치완료!! 시동을 걸고 측정값을 확인한다 *인젝터 파형 및 소전류 파형 분석 서지전압 측정 (=피크전압,역 기전력) 분사시간 측정 분사시간 3ms 소전류 측정을 통해 분사시간 속 무효분사+유효분사를 알 수 있다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면 인젝터 니들밸브 당김이 약해져 무효분사 시간이 더 길어진다) *최종 정리 *답안지 작성 자동차정비산업기사 MAP센서 파형분석 *MAP센서 파형분석 MAP센서를 찾아 플러스 프로브를 꽂는다 채널 1을 대기 해 놓는다 환경설정에 들어가 5V로 조정한다 프로브 연결후 가속페달을 밟아(또는 스로틀 밸브를 열어) MAP센서 파형을 측정한다 MAP센서 파형 확인!! 그림과 같이 MAP센서 파형을 분석!! 시험 때는 감독관이 제시하는데로 측정 분석하며 답안지 제출 하면 된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캠각센서 파형분석 *캠각(CMP)센서 파형분석 캠각센서에 플러스 탐침봉을 연결하여 측정!! 캠각 센서 파형 분석!! (파형 사이클의 너비와 높이는 보기 알맞은 파형을 잡아내어 분석 하면 된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 CRDI인젝터파형분석 *CRDI 인젝터 파형분석 CRDI 인젝터 파형분석은 총 3채널이 필요하다 그 채널 중 하나는 소전류 채널 환경설정에 들어가 채널1,2는 100V 소전류는 30A로 설정한다 채널1,2 프로브를 꽂는다 소전류 측정기 설치하기 전 반드시 영점조정 후 설치!! 파형을 분석한다!! *예비분사 전류 *주 분사(풀인)전류 *주 분사(홀드인)전류 *답안지 작성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점화코일1차 파형분석 *점화코일 1차 파형분석 환경설정에 들어가 300V~600V로 설정한다 플러스 프로브 탐침봉을 점화 코일 단자에 꽂는다 점화 1차 파형 분석한다!! *드웰구간 TR이 On 되어있는 구간 (TR On에서 Off까지 거리), 보통 3~5ms ▶엔진 회전수에 따라 ECU가 제어함 *피크전압 TR Off 전압으로 서지전압이라고도 한다. 보통 300V~400V *감쇄진동구간 점화코일에 잔류한 에너지가 1차코일을 통해 감쇄 소멸 되는 전압 ▶감쇄 진동부가 없으면 점화코일이 불량이다. *답안지 작성 이전 1 2 3 4 다음